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은 국내 여성과학자중 가장 많은 비율의 생명과학관련 분야의 여성과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2001년에 창립한 사단법인으로, 여성들이 국가 과학기술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국내 여성과학기술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여성과학자의 리더십 향상을 도모하고자 다양한 활동과 시상을 하고 있다.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은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자 선정을 통하여 우수 여성과학자를 발굴하고 시상해오고 있으며, 2020년 19회까지 총 79명(중복 수상자 포함)의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수상한 국내 여성 과학자들이 국제적인 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펠로십 부문은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신진 여성과학자에게 주어지는 상이며, 본 Satellite session은 작년 펠로십 수상자인 최소영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연구교수, 임선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종양내과 조교수, 강정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이 연사로 참여하여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Infectious diseases are major causes of global deaths which threatens the public health security worldwide. As exemplified by COVID-19, previously unidentified viral pathogen has spread globally within a few months leading to over 115 million confirmed cases and 2.5 million deceased cases as of 4 March 2021 with huge socio-economic impacts. For bacterial infections, the everlasting problem with antibiotic resistance is still on-going with highly virulent ESKAPE bacterial pathogens (Enterococcus faecium, 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Acinetobacter spp., Pseudomonas aeruginosa, Enterobacter spp.). In low-economy countrie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NTD) together with malaria are major causes of fatality in the child population. Due to low return of investment, interventions for NTD have not been adequately developed globally. In order to combat these devastating infectious diseases, small molecule drugs are an important part of arsenal along with diagnostics and vaccines. In this session, leading researchers will present their research in viral, bacterial and parasitic infections to develop potential drugs. With a global perspective, this session will provide insights on emerging opportunities for drug discovery on infectious diseases with engagements from academia and institutes to product development partnership (PDP) initiatives.
보스턴-켐브리지 지역은 어떻게 글로벌 최고의 바이오클러스터로 성장할수 있었는가?
그 핵심이 되는 바이오 앙뜨레쁘리뉴어는 누구이며, 지역의 혁신생태계는 어떻게 그들의 탄생과 성장을 지원하는가? 지역의 대표적인 전문가들의 경험과 식견을 공유하여 바이오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실용적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